구글맵활용 해서 여행지도 만들기
구글맵활용 해서 나만의 여행지도 만들기 방법이다.
코스를 공유하기도 편하고 내 여행이 어땠는지 기록하기도 좋을 것 같고 여행 가서 활용하기도 좋을 것 같다.
우선 구글맵에 접속을 한다.
나는 사파리에서 했는데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하든 화면 구성은 비슷할 것 같다.
왼쪽 위에 작대기 세개 그어진 것이 메뉴다.
이것을 누른다.
메뉴를 펼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그 중에서 '내 장소'를 클릭한다.
구글맵활용 방법은 다양한 것 같다.
그 장소에 대한 리뷰를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고 내가 저장해 놓은 지도를 공유할 수도 있다.
아무튼 여행지도 만들기 위해 '내 장소'를 클릭한다.
로그인을 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으니 내 지도를 만들려면 구글에 로그인 해야한다.
집이나 직장을 지정해 놓을 수 있고 내가 방문했던 장소를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아직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다른 기능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아무튼 '지도'를 누른다.
아직 구글맵 활용을 안해봤다면 나처럼 지도가 없다고 나올 것이다.
아래쪽에 보면 '지도 만들기'가 있다.
클릭
검색창에 장소를 입력한다.
왼쪽 박스 안에 있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나는 박수기정을 찾고 싶은데 뜨지 않아서 '대평포구'라고 검색을 했다.
빨간 줄 쳐놓은 '지도에 추가'를 누르면 내지도에 추가가 된다.
왼쪽에 대평포구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지도상에도 파란 표시로 저장된다.
저장된 창을 보면 오른쪽 아래에 편집할 수 있는 기능들이 있다.
차례대로 살펴 보겠다.
첫번째에 있는 것은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다.
색을 바꾸든지 아이콘 모양을 바꿀 수 있다.
왼쪽 아래에 있는 '아이콘 더보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이 중 내가 원하는 아이콘 모양으로 변경할 수 있다.
두번째에 있는 펜 모양을 누르면 메모를 삽입할 수 있다.
장소의 이름을 바꿀 수도 있다.
세번째의 카메라 모양을 누르면 관련 이미지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네번째 Y자 모양을 누르면 경로를 저장할 수 있는데 나는 이 기능은 사용하지 않았다.
마지막은 이 장소를 삭제하는 것이다.
만약 내가 찾는 장소가 검색되지 않는다면 검색창 아래에 있는 화살표로 표시한 아이콘을 눌러
지도상의 위치를 직접 지정하여 장소를 추가할 수 있다.
내가 원하는 장소를 지정하고 이름을 입력하여 장소를 추가할 수 있다.
'제목없는 레이어' 옆에 있는 점 세개를 누르면 레이어의 이름을 변경하든가
레이어를 삭제하든가 할 수 있다.
'제주도 서귀포'로 변경을 했다.
지금까지는 서귀포시 여행코스를 저장했고 제주시 코스를 추가하기 위해
빨간 줄 친 '레이어 추가'를 눌렀다.
화살표가 가르키는 점 세개를 누르면 이 지도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제주도 여행코스를 저장한 것이므로 '제주도'라고 저장했다.
그리고 레이어추가를 누르니 아래에 레이어가 생겼다.
같은 방법으로 '제주도 제주시'로 이름을 변경했다.
ㅋㅋㅋㅋㅋ아낭
순서가 너무 뒤죽박죽이다.
아무튼 제주시까지 다 추가한 화면이다.
나름 아이콘도 좀 바꿔봤다.
레이어 이름 앞의 체크표시를 풀면 그 레이어에 저장된 위치는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내가 저장한대로 지도에 아이콘이 표시된다.
2박 3일을 다녀 왔는데 첫날은 거의 서귀포시, 둘째날은 거의 제주시를 다녔다.
이건 칭다오 여행 갔을 때 일행과 공유한 여행지도다.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게 좋은 것 같다.
누가 어디 다녀 왔냐고 물어보거나 여행코스 추천해 달라고 하면
구글맵 url 보내거나 공유해 주면 편할 듯하다.